M22 M2와 주가 지수 비교, 통화지표의 의미(Feat.M1/M2 비율 차트) 기존의 경제 이론과 전망과는 다른 코로나19 이후의 자산 시장의 활황은 원인은 유동성의 힘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이후로 침체된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각국 정부는 엄청난 양의 재정과 통화 정책을 통해 막대한 돈을 시중에 풀었다. 시중의 돈이란 현금, 요구불예금, 각종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펀드(MMF)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량인 M2이다. 지난 5월 기준 미국과 유럽·일본의 M2는 4620조 엔(약 5경1637조원)으로 1년 전보다 550조 엔이 늘었다. 한국은 지난 5월 기준, 국내 M2도 한 달 만에 35조4000억원 늘었다. 넘치는 유동성은 때론 경기 착시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경기 침체기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정부의 부양책으로 인해 경기 침체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 2020. 9. 27. 은과 인플레이션, 현금가치 하락 어떤 투자를 해야 되나?(은,고려아연,물가연동채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 차원으로 '재난지원금'이라는 막대한 돈을 시장에 풀고,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은·구리등의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가파라지면서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투자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가장 큰 문제는 미국 연준이 다시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데 있다. 현재 대규모의 저금리의 현금과 부채를 쓰고 있는 개인/기업/각국 정부 등이 바로 금리 인상의 충격에 빠질 수 있다. 참고. M2(광의통화) - M1 + 기간물 정기예금,적금 및 부금 + 시장형금융상품(CD,RP,표지어음) + 실적 배당형금융상품(금전신탁,수익증권 등) + 금.. 2020. 7.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