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자산배분(포트폴리오) 목적과 자산별 상관계수 자산배분 자산을 주식이나 부동산, 채권 등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다. 전체 자산을 여러 자산군 중 어떻게/얼마나 투자할지, 장기 목표 비율을 결정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비아우어 등의 재무학자들은 미국 82개 대형 연기금의 수익률을 조서한 결과 1977년부터 1987년까지 10년간 전체 자산을 주식과 채권 등 주요 금융상품에 어떻게 배분했는지가 전체 수익률의 91.5%를 결정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종목선정과 매매방법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7%에 불과했다. 즉 종목 선정과 매매방법보다 자산배분 비율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이다. 자산 배분의 목적은 여기에 있다. 자산 배분을 하고 안 하고의 차이도 크지만,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장기 수익률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자산을 배분.. 2020. 8. 22.
금은 다음엔 동? 구리 투자 방법 및 체크포인트 달러화 가치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측정하는 달러인덱스는 8월10일 93.31이다.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모든 금융 상품과 실물 자산 가격에 영향을 끼치고, 달러화로 거래되는 자산의 가격을 끌어 올리게 된다. 대표적으로 달러로 거래되는 원유뿐만 아니라 금, 은등 귀금속과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철, 구리, 비철금속, 곡물 등 대부분의 원자재 가격이 요동치게 된다. 개인적으로 지속적인 달러 약세가 예상되어, 달러인데스란 무엇인지 포스팅했었다. (6월7일 '기축통화 달러를 통한 재테크 투자 전략 방법(달러인덱스 보는법)' 그 이후 금과 은 투자 관련 포스팅도 이어갔다. 금 금 투자 관련 포스팅은 6월17일 자 '가장 현명한 '금' 투자 방법은? 5가지 금 투자 방법 정리'에 기재.. 2020. 8. 10.
은과 인플레이션, 현금가치 하락 어떤 투자를 해야 되나?(은,고려아연,물가연동채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 차원으로 '재난지원금'이라는 막대한 돈을 시장에 풀고,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은·구리등의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가파라지면서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투자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가장 큰 문제는 미국 연준이 다시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데 있다. 현재 대규모의 저금리의 현금과 부채를 쓰고 있는 개인/기업/각국 정부 등이 바로 금리 인상의 충격에 빠질 수 있다. 참고. M2(광의통화) - M1 + 기간물 정기예금,적금 및 부금 + 시장형금융상품(CD,RP,표지어음) + 실적 배당형금융상품(금전신탁,수익증권 등) + 금.. 2020.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