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3건을 노출합니다.
-
미국 채권시장(미국채) 안정으로 기술주 반등, 테슬라 20% 상승 (feat. 데드캣 바운스)
미국 기술주 채권시장 안정에 힘입어 최근 하락하던 미국의 대형 기술주들이 급반등했다. 지난 9일 뉴욕 증시는 대형 기술주에 대한 저가 매수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큰 폭의 상승세로 마감했다. S&P500은 전일 대비 1.42% 상승했고, NASDAQ은 3.69%의 상승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6%대의 상승을 보였다. 반면 DOW 지수는 0.1% 상승에 그쳤다. 나스닥 상승 원인으로는 미국 재무부의 3년물 국채 입찰에 높은 응찰률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7년물 국채 입찰이 흥행에 실패하면서 금리 발작을 일으킨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국채 응찰률은 2.69배로 전달 2.39배에 비해 상당히 높아진 것이다. 전반적인 채권 수요 증가가 확인되면서 기준물 역할을 담당하는 미 국채 10년물 수..
2021.03.10
-
광명시흥 신도시 신규택지정(3기신도시) 국토부 상세 발표자료(21년2월24일)
국토부 원문 자료는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5208)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1.02.24
-
나스닥 상장조건과 이항(EH), 루시드(CCIV)의 폭락 점검(Feat.니콜라, 루이싱커피)
게임스탑 이후 최근 서학개미들의 핫 이슈 종목들은 이항과 루시드(CCIV)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이 두 종목이 최근 조정장에서 유독 큰 폭의 하락이 있었다. 이항은 공매도 리포트, 루시드는 고평가 논란과 차 생산지연 등의 악재가 그 이유다. 앞으로 이 두 기업의 행보는 알 수 없다. 단순한 이슈와 해프닝으로 끝마쳐 기업이 승승장구할 수 있고, 반대로 주가가 더 하락할 수도 있다. 오늘 얘기하고자 하는 바는 '나스닥'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라는 이유로 막연한 믿음은 위험하다는 것과 굴지의 글로벌 기업과 각국 정부(국부펀드 포함)로부터 거액의 투자금을 유치한 것에 너무 혹해서는 투자를 결정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먼저, 나스닥 상장조건을 보면, 나스닥 NASDAQ, (National Assiciatio..
2021.02.24
-
각종 지표 점검(21년2월):PUT/CALL RATIO,달러인덱스,비트코인,미국10년만기 채권,미국기대인플레이션(BEI),상품가격지수,금/원유/반도체,VIX,미국 장단기금리차,Shiller PE Ratio
각종 지표를 통한 주가의 향방이나 위치를 알아보곤 했다. 현재 주식시장은 등락이 이어지며 변동성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각종 지표들은 현재 어떤지 한번쯤 체크해보고, 각자의 투자 방법이나 물량을 점검해 보자. 각종 지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전 포스팅 내용들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각종 지표로 보는 8월 및 하반기 코스피 향방, 상승 이냐 하락이냐? (https://techbboom.tistory.com/55) 주식시장 거품을 알 수 있는 지표, 초간단 정리(버핏지수, 곡물가격, 실러(Shiller) PE 지수 (https://techbboom.tistory.com/69) M2와 주가 지수 비교, 통화지표의 의미(Feat.M1/M2 비율 차트) (techbboom.tistory.com/99) ..
2021.02.20
-
SK바이오사이언스(IPO)상장 청약일정/기업가치/장외가격, 따상 가능할까?(Feat.SK케미칼,SK디스커버리)
올해 변경된 주식 청약 방식에 따라 유망한 기업의 상장에는 더 많은 청약자들이 몰릴 것이다. 높은 경쟁률과 청약예치금에 청약을 포기했던 사람들까지 청약에 동참할 태세이다. (참고. '[기업공개 IPO] 2월 주식 공모주 청약 일정 및 개정 배정방식 정리(https://techbboom.tistory.com/139)) 한동안 대어급 청약 소식이 없던 차에 'SK바이오사언스' 청약 일정 소식이 전해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 2018년 7월 SK케미칼에서 분사해 신설된 백신 전문기업이다. IPO(기업공개)를 통해 글로벌 메이저 백신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이다. 조달된 자금으로 해외 시장 공략과 CMO(의약품 위탁생산) 역량 강화, 제품군 확대,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 R&D(연구·개발) 등에 적극적으로 ..
2021.02.10
-
[기업공개 IPO] 2월 주식 공모주 청약 일정 및 개정 배정방식 정리
주식청약 제도 변경 2021년부터는 청약제도에 변화가 있다. 균등 배분 청약제도가 도입되었다. 전체 공모주 물량의 50%를 개인투자자 몫으로 떼어놓고, 최소한의 증거금을 맡긴 개인 청약자들에게 모두 균등한 수량이 배분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신규 공모기업 주식이 100만주라면 그중 50만주는 개인 투자자 몫으로 돌아간다. 최소증거금을 납부한 개인투자자가 10만명일 경우, 1인당 5주씩 균등하게 배분되는 것이다. 그동안 고액자산가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했던 공모주청약 제도를 바꿔서 일반투자자들도 공모주투자에 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정책이다. 금융당국의 개선방안은 크게 두 가지이다. ① 일반청약물량 하한선을 기존 20% → 25%로 확대하고, 우리사주조합 물량 실권 시 최대 5%내에서 일반투자자에 추가 배..
2021.02.08